popup zone

사회학은 집단과 사회 속에서의 인간의 삶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사회학적 관점은 인간 행위를 단순히 개인적인 차원이 아닌 사회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사회학적인 사고는 일상적으로 친숙한 현상들을 새롭게 바라보는 것이다. 또한 사회학적 방법은 새롭게 인식된 인간행위와 사회현상들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과학적으로 탐구한다. 사회학의 탐구 대상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겪고 있는 주변의 삶에서부터 사회 전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이처럼 다양하고 폭넓은 이론, 방법론, 연구대상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은 학생들이 사회학의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그 중요성과 응용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자신의 세부전공영역을 선택하고 전문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초능력을 배양하기 때문에 사회학은 학문지향적인 성격을 띤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사회과학 자체가 사회 현실문제에 대한 인식과 분석에서 출발하여 그 해결책을 모색하기 때문에 ‘응용분야’에 속한다.

교육목표

사회학은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 인간과 사회를 과학적으로 탐구한다. 본 사회학과는 학생들에게 사회적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능력을 함양시키고 있다. 문제를 분석할 때 사회학은 학문적인 정확성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활용성을 강조하고 있다. 수업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방법론과 사회학 이론의 훈련을 받으며, 이런 훈련을 통해 학생들은 사회학적 상상력과 통찰력으로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며, 분석의 결과를 글과 말로 조리있게 표현한다.


이 같은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 1

    사회를 다양한 각도에서 예리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 2

    주어진 자료와 정보를 효율적으로 취합, 분류, 분석할 수 있으며

  • 3

    사회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생산적이고 긍정적인 관점에서 대안을 제시할 수 있으며

  • 4

    국제적인 안목과 지방화시대를 이끌어갈 지혜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내용

① 종합적 현실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학 이론

비판사회학, 사회학의 역사, 마르크스.베버.뒤르켐, 현대사회학이론, 사회변동론 사회학은 발생 자체가 인간사회의 복잡한 현실과 변동을 이해하고 위기상황에 질서를 부여하기 위한 안목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실 속에서 항상 새로운 대답을 마련하여 오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축적된 사회학 이론들은 과거, 현재, 미래 사회의 변화방향과 더불어 현대 사회에 대한 심층적이고 포괄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② 과제의 정확한 인식

한국사회론, 정치사회학, 문화사회학, 산업노동사회학, 직업사회학, 계급과 불평등, 종교사회학, 특수사회학 현실에 대한 종합적인 파악 이후에 요구되는 것은 보다 구체적인 사회적 과제나 영역에 대한 정확하고 체계적인 인식의 틀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인식틀이 마련되지 못하면 그에 대한 과학적이고 치밀한 분석 또한 불가능하다. 위에 예시한 여러 사회학 전공 선택 과목들의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은 해당 사회현상을 바라보는 세련된 인식틀을 갖추게 된다.


③ 체계적인 자료수집과 분석

사회학의 이해, 사회과학방법론, 사회조사방법, 사회통계, 사회조사실습, 영상사회학 , 사회학적 질문들은 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과 세련된 인식틀 속에서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론적 지침에 근거한 체계적 자료수집과 과학적 분석은 필수적이다. 사회학에서 전통적으로 활용해 온 다양한 자료수집과 분석방법은 체계적인 연구와 엄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실제 정책 결정과 수행의 기본 토대가 되고 있다.


④ 구체적인 해결책 제시

한국사회론, 인구와 가족, 사회정책, 고령화사회론 사회당면과제의 정확한 인식은 그 해결책의 제시로 이어져야 한다. 위의 과목들은 사회를 구성하는 여러 주체들이 현대 한국사회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여야 하는가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준다.


⑤ 미래 예측과 대응

정보사회론, 사회변동론, 비교사회학, 고령화사회론 사회학은 과거와 현재의 경험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는 성격을 지닌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급속하게 전개되고 있는 정보화와 고령화현상을 역사적인 관점을 강조하는 사회변동론과 다양한 국가와 지역간 비교연구를 강조하는 비교론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그 추이를 전망할 능력을 마련한다.